산림조경학과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Facebook
LinkedIn
Skype
Pinterest

2025 WITH:U 멘토링 프로그램 가든누리 팀(김송윤, 하지은) 최우수상 수상

– 가든누리 팀 김송윤(21학번), 하지은(24학번) –

🌿 안녕하세요 산림조경학과 재학생 여려분

원광대학교 산림조경학과 ‘가든누리(Garden Nuri)’ 팀(김송윤(21학번), 하지은(24학번), 지도교수: 조장환 교수님)이
2025년 원광대학교 대학혁신사업단에서 주최하는 WITH:U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2025년 4월부터 10월까지(총 7개월) 진행되었으며, ‘이론의 현장 적용’을 목표로 추진되었습니다.
국립세종수목원 정원도시숲본부 노희은 실장님이 멘토로 참여하여 실무 중심의 전문 자문을 제공해주셨습니다.

 

🌿 연구 주제: ‘생태계서비스’ 개념의 정원 조성 현장 적용 탐구

가든누리 팀은 특별히 대중 인식이 낮은 지지서비스(Supporting Services)를 중심으로,
생태계서비스 이론이 실제 정원 설계 및 시공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탐구했습니다.

✔ 5월 – Q방법론 기반 Z세대 인식 분석 연구 설계
✔ 6월 – 자체 개발한 생태계서비스 인식 평가표로 대상지 선정 기준 마련
✔ 8월 – ‘지지서비스 개념을 적용한 생태계서비스 정원 조성에 대한 Z세대 인식’ 포스터 논문 완성 및 학회 발표

✔ 9월 12일 – 고흥 마복산 목재문화체험장 청소년 숲 체험 센터에서 최종 현장실습 및 실제 정원 시공

🌳 최종 실습: 생태 순환을 담은 ‘지지서비스 정원’ 직접 조성

학생들은 토종 수종과 초화류를 활용해 곤충·조류 서식 가능성을 높이는 공간 구성을 시도했으며,
눈에 보이지 않는 생태 순환 구조를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해 토양 단면 시각화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
이러한 전 과정은 학생들이 스스로 이론 → 분석 → 설계 → 시공을 모두 수행한 특별한 배움의 경험으로, 산림조경학 교육의 우수한 실천 사례로 평가받았습니다.

 

🗣 학생 소감

김송윤(21학번)
“6월의 평가표 제작처럼 이론적 과정이 많았지만, 결국 저희가 만든 기준으로 실제 정원을 조성했을 때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이론과 현장의 간극을 스스로 좁히는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하지은(24학번)
“수업에서는 추상적으로 느껴지던 지지서비스를 정원 디자인 과정을 통해 실제로 경험하며 과정이 이해되기 시작했습니다.
조장환 교수님의 학술적 지도와 노회은 멘토님의 경험이 결합되어 이론이 현실이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7개월간 학생들의 성장을 이끌어주신 조장환 교수님, 현장의 전문 지식을 아낌없이 나눠주신 노희은 실장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가든누리 팀의 이번 최우수상 수상은 산림조경학의 이론–비판–연구–설계–시공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우수한 교육·연구 성과로,
우리 학과의 교육 역량과 학생들의 주도적 연구능력을 입증하는 귀중한 성취입니다.


앞으로도 원광대학교 산림조경학과 학생들의 활발한 도전과 성장을 응원합니다.🌟

 

산림조경학과

Wonkwang University

Search